고양이의 발정기부터 임신확인법, 임신에 따른 증상, 출산 준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의 발정기 시기와 행동의 변화
고양이는 태어나서 대략 7~10개월 때부터 발정기가 오는데요, 발정기는 1년에 2번 있습니다. 1월에서 3월 무렵과 8월에서 10월 무렵입니다. 집고양이는 계절 감각이 없어져서 발정기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기도 합니다.
암컷 고양이는 평소보다 응석을 많이 부리고 엉덩이를 높이 들고 다니며 바닥에 몸을 자주 비비는 행동을 보입니다. 또 발정기 땐 식욕이 줄어들고 날카로운 목소리로 울기도 합니다.
발정기 때 짝짓기를 시도하면 거의 90% 확률로 임신이 되기 때문에 중성화를 하지 않았다면 암컷과 수컷을 분리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 임신확인법, 증상은?
고양이는 약 60일~66일로 약 2개월 동안의 임신기간이 이어지고, 약 4마리~6마리 정도 새끼를 낳습니다.
20일쯤에는 눈으로 고양이 임신확인이 가능할 정도가 되는데요, 임신으로 인해 몸이나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초기에는 입덧을 보이면서 식욕을 없지만, 중기에 들어서면서 식탐이 왕성해지고 체중이 늘면서 배가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몸이 무겁기 때문에 활동량이나 민첩함이 감소하게 되며 쉽게 피로해져서 수면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길고양이 임신확인법은 매일 상태를 체크하기 어려운데요, 배가 불러오는 증상 외에 유두 주변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유선이 발달하면서 꼭지 주변의 털이 빠지게 됩니다. 다만, 배를 직접 만진다거나 누르는 행동을 해선 안됩니다.
또한 고양이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평소보다 공격성을 보이기도 하고, 친근하게 굴기도 하니 행동의 변화도 주의 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임신기간에는 2배의 칼로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영양분을 충분히 보충해 줘야 하는데요,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먹이를 챙겨줘야 합니다. 다만 비만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양 조절이 필요합니다. 한 번에 많은 양을 급여하지 말고 소량씩 여러 시간으로 나눠서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식은 기생충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절대 급여해선 안됩니다.
출산이 다가올수록 태동이 느껴지며 유두에서 젖이 나오기 시작할 때 거의 임박한 시기입니다.
고양이 출산 징후가 보이더라도 사람과 같이 상상임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선이 발달하고 배가 부풀어 오르고, 젖이 분비되더라도 실제로는 임신이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일반인은 감별하기가 어려운데요, 병원에서 초음파로 진단받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임신 유무를 확인하고 건강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상단에 언급한 임신증상이 보인다면 병원에 데려가야 합니다.
고양이가 임신했을 때 출산 준비는?
고양이 출산 징후가 보이면 안정적인 출산 공간을 조성해 주어야 합니다. 빛이 들어오지 않는 곳이 좋으며 온도와 습도가 적절해야 하고 사람이 자주 드나들지 않으면서 조용한 곳이 좋습니다. 푹신하고 부드러운 담요와 파티션으로 안정된 공간을 마련해 주세요. 또 먹이는 산실 근처에 두고 화장실도 멀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보호자가 없을 때 난산을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출산일이 가까워지면 혼자 두지 않는 것이 좋으며, 비상사태를 대비해 동물 병원의 수의사 연락처를 알아두시기 바랍니다.